<iframe width="0" height="0" title="광고" class="ad100" id="viewimg_ad" src="about:blank" frame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noresize="noresize" scrolling="no" allowtransparency="true"><iframe>기존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과 새롭게 제시한 역동적 연속시간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한국연구재단 제공)ⓒ 뉴스1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이론으로도 해결되지 않던 통계물리학의 난제를 해결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중앙대학교 성재영 교수‧김지현 교수가 세포 환경과 같은 복잡 액체에서도 일관되게 성립하는 분자들의 수송방정식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꽃가루가 물에 떠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불규칙한 운동을 브라운 운동 또는 열운동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열운동하는 입자들의 이동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시했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크고 액체가 균일할 때는 정확했지만 여러 분자나 입자가 섞여 있는 복잡 액체에서는 맞지 않았다. 때문에 복잡 액체에서 입자 열운동을 설명하는 것은 현대 통계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였다.
후략
출처-https://news.nate.com/view/20190613n17284?modit=1560399073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